티스토리를 관리하다 보면 광고송출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많은 원인 중에서 구글 애드센스 무효 클릭(무효 트래픽)으로 인해 광고송출이 안될 때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효 트래픽의 정의
무효트래픽이란 게시글 당사자나, 관리인, 또는 제 3자가 광고주의 비용 획득을 위해 임의로 광고를 클릭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수동으로 측정가능하고, 수동으로 측정 태그를 걸어놓지 않았다면 추적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로 예를 들면 저는 무효 트래픽의 경우가 처음이어서 구글애널리틱스 태그를 달지 않았는데도 다음의 방법으로 구글광고송출 안됨이 풀렸습니다. 따라서, 끝까지 함께 따라오시면 구글애널리틱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고의로 광고를 클릭하지 않아도, 트래픽이 갑자기 높아지는 경우 무효트랙픽으로 인식하기도 합니다. 예를들면, 돈을 주고 트래픽을 사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갑자기 높아진 트래픽으로 인해 무효 트래픽에 걸리는 사람들도 있으며, 로봇으로 의심받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꼼수를 쓰다가 걸리기보다, 양질의 글을 올리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내가 광고를 클릭하지도 않았고, 소프트웨어나 트래픽을 구매하지도 않았는데 무효 트래픽에 걸리는 억울한 경우는 구글이 직접 신고하여 모니터링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에서는 구글에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효 클릭을 의심하는 상황
자신이 트래픽을 구매하지도 않았고, 소프트웨어를 적용한적도 없는데 갑자기 수익이 반토막 나고, 그다음 날 0으로 수렴하는 상황이 있다면 무효 클릭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어느 날 갑자기 수익이 반토막이 되더니, 그다음 날 0에 수렴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웬만한 건 다해봤지만 구글 애드센스에서 정책 위반에 걸린 게 없다 하면 (정책위반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무효 트래픽을 의심해 보세요.
무효 클릭 IP를 추적하는 방법
내가 만약 고의로 클릭을 하지 않았다면, 무효 클릭 IP를 먼저 잡아내야 합니다. 이미, 광고송출이 안 된 계정이라면 트래픽을 잡아낼 수 없지만, 다음의 무효트래픽을 막기 위해서 구글애널리틱스를 통해 IP추적을 해야 합니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야 하지만, 구글애널리틱스 GA4를 사용할 경우 구글 광고수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 GA4라는 속성을 추가하여 태그를 걸면 "세션대비 에드센스 클릭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정확한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구글 사용자 기준으로 600% 이상이 되면 무표 트래픽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600% 이상의 애드센스 클릭률 대비 세션 시간이 보이면 신고를 해야 합니다. 물론, 신고를 자주 하는 것은 상관은 없으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600%로 가이드라인을 잡아놓고 있습니다. 이는, 구글의 입장이 아니라 구글 사용자들의 평균적인 입장임을 알려드립니다.
수익이 많이 창출되는 블로그의 경우에는 매일 신고하기도 하며, 통상적으로 수익이 발생하는 블로그에서는 2~3일에 한 번씩 확인을 하고, 의심되는 IP가 있으면 신고를 하는 운영을 택하고 있습니다.
무효 클릭 신고하는 방법
구글 애드센스 고객센터에는 무효 클릭 신고 양식이 있습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contact/invalid_clicks_contact
Google 애드센스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
accounts.google.com
저의 경우에는 이름, 이메일주소, 웹게시자 ID(pub-00000000), 블로그주소 URL를 선택할 수 있으나,
나머지 주제, 클릭이 발생한 날짜와 시간, 무효활동 IP주소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블로그 주소까지 입력한 후에 주제를 "의심되는 계정 활동 보고하기"를 클릭하고 제가 추측하는 날짜와 시간, 무효클릭 행위에는 "제가 클릭하지 않았으므로 무효행위가 의심됩니다.", "아직 구글애널리틱스를 등록하지 않아 IP주소를 제출할 수 없습니다."등의 말을 써서 제출하니 바로 광고송출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사실, 필수 선택지만 답하고 주제를 "의심되는 계정활동 보고하기"까지 눌러도 제출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구글에게 무효클릭의심 IP를 신고하고 나서는 이제 다시 무효클릭으로 광고송출이 막히지 않게 무효클릭 IP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무효클릭 IP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