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대상 : 19세 ~ 34세
금리 : 연 최대 4.5%
가입조건 : 개인소득 연 5천만원 미만, 주택 보유가 없는 자
출시일: 2월 예정(2월10일 아직 미발표)
결제한도 : 건당 100만원
취급은행 :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기존 청년우대형통장 청약통장 가입자들은 출시일에 맞춰서 자동전환되는 통장입니다. 청년우대형통장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할 수 있죠. 운영기관은 국토교통부 입니다.
청년주거드림대출
금리 : 최저 2.2%
지원대상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1년 이후부터 이용 가능
가입조건 : 만 39세 이하, 무주택,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미혼, 결혼 합산소득 1억원 이하
부동산 기준 : 가격 6억원 이하, 전용면적 85m 이하 주택
가치 대비 대출(LTV): 80%
청년도약통장 : 최대 5천만원까지 일시금 조달 가능
청년 내 집 마련 1,2,3 주거지원 정책에 따라 청년 주택드림 통장의 연계 정책입니다.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의 돈으로 청년주거드림대출을 이용해 집을 구매하는것을 장려하는 정책입니다.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청년 월세, 전세 보증금 대출 지원)
대출 한도
예금대출 : 최대 6,500만원
월세대출 : 최대 1200만원(월 최대 50만원, 24개월)
대출금리
예금대출 : 연 1.3%
월세대출 : 월 1.0%, 연 1.5%
임대면적 60㎡ 이하 주택
새롭게 시작을 할 청년들에게 제일 도움이 되는 대출입니다. 보증금 최대 6,500만원의 주택에서 최대 4,5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최대 대출 금액은 월세+보증금 가격입니다.
청춘도약계좌
지원대상 : 19~34세 청년
가입조건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지급한도 : 월 70만원, 만기 5년
취급은행 : 기업은행, 국민, 농협, 신한, 우리, 하나, 대구, 경남, 부산, 전북, 광주은행
정부 기부금 및 세금 면제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결과를 통보하는 월간 신청
청년내일적금
지원 : 소득수준에 따라 월별 지원
대상 : 만 19세34세, 근로소득 5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100% 미만
자산한도 : 대도시 - 3.5억 원, 중소도시 - 2억 원, 농촌 - 1.7억 원
신청방법 : 필수 서류 제출 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신청
중소기업 취업 청년 대출
대상 : 만 19세~34세의 청년
가입조건 :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합산 연소득 5,000원만원 이하, 순자산 3억 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
이자율 : 연 1.5%.
대출한도 : 최대 1억원.
대출기간 : 최초 2년, 최대 4회 연장 가능, 최대 10년까지 가능. 대출 상환시 원금 상환 또는 가산금리의 경우 1회 연장 가능.
빈 일자리에 대한 고용 인센티브(2024년)
인센티브 : 6개월간 200만원
산업 : 제조, 물류, 보건 등 10개 분야
추가 인센티브 : 취업 성공자에게 3개월 100만원, 6개월 100만원
청년월세지원
지원 : 월 최대 20만원, 12개월간 지원
대상 : 집값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
추가 보장 : 임대료 초과시 최대 70만원
소득 및 자산 기준은 청년 가구와 원래 가구 모두에 적용
자격시험비 감면
대상 : 취업을 희망하는 34세 이하 청년 누구나
혜택 : 국가기술자격 응시료 50% 할인(연 3회 실시)
대상 : 국가기술자격 시험 493건
K-Pass 교통카드 발급
지원대상 : 일반인 및 34세 이하 청소년 누구나
혜택 : 지하철, 버스 이용금액에 따라 요금환급이 가능한 통합승차권 'K패스'
할인혜택 :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20% 할인
재정지원 : 청년층은 연간 할인 및 추가혜택을 누릴 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