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팝나무와 조팝나무의 차이 (이팝나무 개화시기 및 조팝나무 개화시기)

다하는 2024. 4. 8.
반응형

이팝나무와 조팝나무는 봄과 여름에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나무는 외관상 꽃이 곡식과 비슷해서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도 비슷하게 생겼지만 실제로는 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팝나무

  • 특징: 이팝나무는 주로 남부 지방에 많이 자라는데, 이팝나무의 꽃은 흰색으로 길쭉하게 핍니다. 크기도 최대 20m까지 자랄 수 있어요. 나뭇잎은 길고 타원형이며, 열매는 검보라색을 띠고 있습니다.
  • 이름 유래: 꽃이 쌀밥과 비슷한 모양이라서 이밥에서 이씨의 밥으로 변화해 이팝나무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 꽃말: 영원한 사랑, 자기 향상
  • 개화시기: 주로 5~6월

 

조팝나무

  • 특징: 조팝나무는 작은 나무로, 주로 대만과 중국 중부에 서식합니다. 꽃은 작고 흰색으로, 주로 물이 많은 곳에서 자랍니다.
  • 이름 유래: 꽃 모양이 튀긴 좁쌀과 닮아서 조밥에서 조팝으로 변화했다고 합니다.
  • 꽃말: 하찮은 일, 헛수고, 헛고생, 단정한 사랑, 노력 등
  • 개화시기: 주로 4~5월

이팝나무와 조팝나무 구분하기

키로구분하기

조팝나무의 키는 2m 이하로 작은편입니다. 반면에 이팝나무는 최고 20m까지 자라는 식물입니다. 

 

생김새로 구분하기

조팝나무는 둥근 꽃잎으로 가지고 있고, 꽃들이 모여 둥근 원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하얀 구름을 연상시키게 하고는 합니다. 이팝나무는 쌀밥과 같은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꽃잎이 길고 얇으며, 솜뭉치를 연상시키게 하고는 합니다.

 

이팝나무가 가로수에 많이 보이는 이유

최근 몇 년 동안, 이팝나무는 도시 곳곳에서 자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버스 정류장이나 도로변에서 이팝나무의 풍성한 꽃이 우리를 맞이합니다. 몇 년 전부터 가로수길에 이팝나무를 심었기 때무입니다. 따라서 옛날에는 들판이나 산골짜기에서 볼 수 있었는 식물이라면, 요즘에는 주변의 공원이나 길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나무가 되었습니다.

 

이팝나무의 개화와 관련된 특징

이팝나무의 개화시기는 주로 여름인 "입하"에 시작됩니다. 5~6월에 피는 흰색의 꽃은 이 나무의 아름다움을 한껏 드러냅니다. 이팝나무는 개화기간 동안 약 20일 동안 꽃을 피우는데, 올해는 이전보다 빨리 꽃이 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팝나무의 명칭에 대한 다른 유래

 이팝나무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나팝나무"를 기원으로 합니다. 이는 조선시대에 산림 자원에 대한 기록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이 나무의 꽃 모양이 쌀밥을 연상시켜서 "이팝"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하는 가설도 있습니다.

 

이팝나무 의미

이팝나무의 학명은 치오난투스 레투사(Chionanthus retusa)입니다. "치오난투스"는 "흰 눈"과 "꽃"을 의미하는 합성어로, 이 나무의 하얀 꽃을 잘 표현합니다. 또한, 이 나무의 꽃은 때때로 하얀 쌀밥을 연상시켜 이팝나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꽃말로는 영원한 사랑, 자기 향상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팝나무 명소

이팝나무는 한반도 남부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경남 지역에는 이팝나무의 명소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명소들은 특별한 이팝나무 축제를 개최하기도 합니다. 이팝나무 거리를 따라 걸어보면 이 나무의 아름다움을 한껏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축제는 가족들과 함께 즐기기에 좋은 기회가 됩니다.

 

- 밀양 위양지

-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

- 전주 수목원

- 교향리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