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은 "외워도 된다 vs 안 외워도 된다"로 나뉩니다. 하지만, 외우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외우는 도표를 공유합니다.
1. 고려왕 순서 외우기
2. 주요 업적정리
1) 태조
고려 건국, 연호 "천수", 철원에 도읍된 것을 송악으로 천도
흑창 설치
호족회유 : 사심관제도, 기인 제도
통치 규범 : 훈요 10조(고려의 건국은 부처님 덕분이며, 북진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내용)
2) 혜종
왕규의 난
3) 정종
서경(=평양)천도시도(실패)
광군사 설치(거란 침입 대비의 목적)
4) 광종 : 왕권강화
노비안검법(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들 해방)
과거제(능력 있는 사람을 뽑자+신구세력의 교체 도모)
백관의 공복(자·단 ·비 ·녹색)
황제라 칭하고, 광덕->준풍의 연호 등 독자적인 연휴 사용, 개경을 황도로 칭함
5) 경종
시정전시과 : 호족들을 중앙정계로 끌어들이기 위해 설립된 제도
6) 성종(성종이름은 통치!)
최승로 시무 28조 수용
- 유교정치 실현
- 12목에 최초로 지방관 파견(통치제도)
- 향리제도 마련(지방관 세력 견제)
- 연등회, 팔관회 폐지(유학 파니깐 유교 숭배)
통치조직정비 : 2성 6부
* 최초의 지방관 파견은 신라의 이사부, 고려에는 성종이 향리제도 마련
7) 목종
개정전시과
강조의 정변(목죵 폐위, 현종 즉위)
8) 현종
지방제도 정비 : 5도 양계
거란 침입의 격퇴 : 거란 3차 침입 -> 강감찬의 귀주 대첩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뒤 : 초조대장경 간행, 7대 신록 편찬
현화사 건립, 연등회/팔관회 부활
9) 덕종 10) 정종 : 천리장성
11) 문종 : 경동나비엔 남대문기사
경정전시과 : 놀고 있는 사람에게는 안 주고 현직관리에게만 수조권 지급
사학발전 : 최충(사립학교) 설립
동 ·서 대비원(개경) : 국립 의료기관 설립
흥왕사 건립 : 문종의 넷쨰아들 의천이 건립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
12) 순정 13) 선종 14) 현종
15) 숙종
윤관의 별무반 조직(여진을 정벌한 건 아님)
주전도감 편찬 후 화폐발행
16) 예종
여진 정벌 후 윤관이 동북 9성 축조
예(종). 7재. 양(현고). 감 좋은. 보(문각). 청(연각). 기 구(9성) 해도.
17) 인종
이자겸의 난 : 예종의 외할아버지이자, 인종의 장인어른인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서경으로 천도합시다 파) -> 김부식이 진압(천도 반대파)
18) 의종
무신정변
19) 명종
최충헌의 봉사 10조 건의
최충헌=무신정변에서 중앙세력 중 한 명.
20) 신종
21) 희종
22) 고종
최우집권
몽골의 1차 침입 -> 강화도 천도 -> 쌍성총관부 설치(공민왕 때 수복될 거지만 일단 설치)
23) 원종
동녕부 설치 -> 무신정권 붕괴 -> 개경환도 -> 삼별초 저항(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저항 중) -> 원 간섭기 시작 -> 삼별초가 내려온 탐라부에 탐라부 총 관부 설치
24) 충렬왕
원간섭기
일제의 정벌 동원 : 정동행성 설치(동쪽을 정벌하러 가는 관청)
관학 진흥책
25) 충선왕
정방폐지
소금전매제 실시
충숙왕에게 양위한 후 원에 가서 자기 집에 "만권당" 설치
26) 충숙왕
27) 충혜왕
28) 충목왕
29) 충정왕
30) 공민왕 : 원↓명↑ 인 시절. 반원시작
반원자주정책 : 친원파숙청(기철), 정동행성 폐지, 쌍성총관부 수복, 관제 복구
홍건적의 침입 : 원나라가 약해지니 원나라 때문에 도망쳤던 홍건적이 침입
왕권강화 정책 : 신돈 등용. 전민변정도감(관청) 설치, 성균관 정비
요동정벌 : 이성계+지용수로 요동정벌
31) 우왕
왜구 침입
최영(우왕의 장인)+이성계 집권
이성계가 위화도회군(1388) 최영 숙청
32) 창왕
쓰시마섬정벌(박위)
33) 공양왕
1) 과전법 실시
정몽주 암살(선죽교) -> 공양왕 폐위 -> 조선건국(이성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