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와 원인
손목 수근관 증후군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는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해서 손가락으로 운동신경을 보내며,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힘줄들이 손가락으로 지나갑니다. 손가락으로 뻗기 전에 손목에서 일종의 관처럼 신경과 힘줄들이 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를 수근관이라 하며, 수근관에는 신경과 힘줄이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수근관을 지나는, 손목을 지나가는 신경 중에 정중신경이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힘줄인 수근관을 건드리면서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수근관이 접히거나, 수근관을 통하는 힘줄이 움직이는 모든 행동들이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우발적인 상황에서 통증이 발현되기도 하며, 나이에 상관없이, 성별에 상관없이, 질환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에게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임신 중인 여성에게서도 빈번히 일어나는데, 이는 임신 중에 체중이 늘어나면서 힘줄의 힘이 체중을 견디지 못하고 눌리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신장이 안 좋아서 투석을 받는 사람에게서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무엇보다 이 글을 찾아보셨을 모든 분들이 그러하듯이, 손을 많이 쓰는 주부, 미용사, 직장인들에게서도 많이 발현이 됩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키보드를 오래 사용하는 직장인들에게서는 더 빈번히 나타납니다.
증상
손목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하나만 해당되어도 손목 수근관 증후군으로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여러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 손가락의 일부가 저리지만 새끼손가락에는 저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는 운동신경이 다발을 지어 이동하는데, 새끼손가락을 빼고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주로,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가락이 굳거나 경련이 있는 경우도 손목 수근관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이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손가락이 자주 화끈 거리며, 물건을 때때로 놓치기도 하며, 팔을 어깨 높이만큼 올렸을 때 손목에서 통증이 발생가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손가락, 손목뿐만 아니라 팔, 어깨까지도 통증이 발생합니다.
진단
손목 수근관 증후군임을 진단하는 방법은 신경 검사, 방사선 검사 등이 있습니다. 주로,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해진 경우에나 병원에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도 손목의 신경을 누르고 어디에서 통증이 유발되는지 보는 신경 타진 검사, 손바닥을 팔 안쪽에 닿게 구부려 있는 동안 어디에서 통증이 유발되는지 보는 수근 굴곡 검사, 엄지손가락 아래의 볼록하고, 튀어나온 근육에서 전기적 검사를 통해 신경전달 속도를 검사하는 전기적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수근관 증후군 방치할 경우 힘줄이 이미 늘어진 상태일 거기 때문에 회복이 느립니다. 하지만, 수술 치료를 제 때 받으면 화끈거리는 증상이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의 경련이나 굳음은 확실히 줄어듭니다.
치료방법
치료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수술이 필요 없는 방법입니다. 수술이 필요 없는 방법에는 힘줄이 눌렸을 때 발생하는 염증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염제를 복용하거나, 손목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조기를 착용하는 방법, 염증을 없애줄 약물을 주사기로 직접 손목에 주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 비수술적 치료를 행한 후에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이 때는 수술적 치료를 권하게 됩니다.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하는 사람으로는 비수술적 치료에 의해 경과가 나아지지 않는 사람, 통증이 너무 심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사람, 점점 통증이 심해지는 환자, 다른 질병에 의해 힘줄의 눌림을 받는 환자, 외상이나 내상으로 손목에 상처가 있어 힘줄이 눌리는 환자 등이 있습니다. 수술은 손목의 인대를 일부분 자르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손목을 수술하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력과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만 신경을 건드리는 것이 아니라 인대를 자르는 수술이기 때문에 비교적 수술 시간은 짧습니다. 과거에는 외과적인 방법으로 손목을 개방했지만, 지금은 조금의 피부 절개 후 특수한 기구를 집어넣어 인대를 자르는 방법을 이용하며,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절제 부위는 정중 신경을 누르는 인대이며, 인대를 자르고 정중 신경 밑이나 위로 다시 봉합해 정중신경을 누르지 않게 합니다. 수술한 거의 모든 환자들이 만족을 표현하는 수술이며, 아무리 심한 고통을 호소했다 하더라도 이 수술로 인해 고통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종양의 수술 및 치료 방법 (0) | 2022.08.30 |
---|---|
대장암이 무서운 이유와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0) | 2022.08.28 |
족저근막염은 왜 생기며, 어떤 방법으로 나을 수 있을까? (0) | 2022.08.28 |
메니에르병의 빠른 치료가 중요한 이유 (0) | 2022.08.27 |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알아둬야 하는 기본 증상 (0) | 2022.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