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 무엇인가요?
결핵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생기는 질병입니다. 결핵이 감염되는 경로로는 호흡기나 사람의 분비물이 점막을 통해 옮겨지는 전염성 질병입니다. 결핵균을 보유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세균 입자를 전파하면, 공기 중에 갇혀있던 세균 입자가 주변 사람들이 호흡할 때, 호흡기로 침투하게 됩니다. 물론, 결핵균을 보유한 사람과 마주친다고 해서 모두 결핵이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면역력이 센 사람에게는 발병할 확률이 낮으며, 강한 전파력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결핵균은 우리 몸의 어느 장기에서나 기생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일 많이 감염되는 곳은 폐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핵이라고 말하면 폐결핵을 상상합니다.
결핵균의 증상으로는 입맛이 없어지며 체중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결핵균이 우리 몸의 영향분을 소모시키기 때문입니다. 체중 감소와 더불어 무력감이나 피로를 더 많이 느끼게 되고, 미열이나 식은땀을 흘리기도 합니다. 폐결핵 환자의 경우에는 기침을 할 때 피가 나오는 객담과 기침 증상을 많이 호소합니다. 폐결핵뿐만 아니라 호흡기 기관에 결핵이 침투된다면, 기침과 기침에 혈액이 포함된 증상을 많이 보입니다. 기침은 일반적인 기침과도 구분이 안되기 때문에 폐결핵을 발견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조기에 폐결핵을 발견하지 못해 폐렴으로 번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어린아이가 결핵에 감염되게 되는 경우 급속도로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혼수나 의식 불명 등의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결핵은 어떻게 진단할 수 있나요?
결핵을 진단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X-ray 검사입니다. 이외에도 객담의 화학적 검사, 배양 검사 등을 통하여 결핵균을 검출하기도 합니다. 결핵균을 검출하는 시료는 매일 아침 일어나자마자 가슴속 깊이부터 기침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침에 환자가 만들어낸 시료로, 검사자들은 결핵균을 배양하게 됩니다. 결핵균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영양분을 넣어 주어 결핵균이 번식한다면 눈에 보일 정도로 무리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배양법을 위해 총 3번의 시료 채취를 통해 결핵균을 배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배양법을 이용하기보다는 시료의 유전자 증폭 및 검사를 하는 것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결핵균을 배양할 필요 없이, 환자가 만든 시료에 있는 모든 유전자를 증폭 기술을 이용해 증폭하고, 증폭된 유전체 중에 결핵균이 꼭 함유하는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결핵균을 검출하는 가장 확실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는 방법입니다.
결핵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결핵의 치료방법에는 크게 약물치료와 수술치료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에는 항결핵제를 이용하게 됩니다. 항결핵제는 결핵균을 죽이는 표적 세균 억제제입니다. 결핵균을 죽이는 강한 방법이긴 하지만, 복용 중에 중단을 하면 결핵균에게 내성을 생기게 해 주므로 복용 중에 중단하는 것이 금지되며, 다른 세균 억제제와 함께 처방하는 칵테일 요법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결핵 환자들은 매일 많은 양의 약물들을, 규칙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복용하게 됩니다. 하루라도 빠져먹을 경우, 내성이 생겨 치료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현재, 칵테일 요법으로 사용하는 항결핵제는 약 10종이 있습니다. 이는 1차 약이라고 하여, 증상이 심해지거나 호전되는 효과가 없으면 2차 약까지 복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많은 항결핵제를 복용하다 보면 간독성의 부작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간독성뿐만 아니라 시력 장애, 백혈구 감소 등 많은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으나, 치료 중에 복용을 중단하는 것은 절대 금기되며, 다른 약물로 변경하는 방법을 택하게 됩니다. 고용량의 약물로, 장기간 복용했음에도 결핵균이 사라지지 않아 증상에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외과적인 수술 치료를 선택하게 됩니다. 약물치료와 수술치료로 1년 동안 한번 도 결핵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결핵 치료를 종료하게 됩니다.
결핵 환자가 알고 있어야 할 주의사항
결핵은 완치를 위해 오랜 기간 노력해야 하므로, 환자가 알고 있어야 할 주의사항도 많습니다. 결핵 치료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결핵균이 내성을 가지게 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복용하는 약물을 규칙적으로 중단 없이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부작용이 있더라도 약을 중단하기보다는 다른 약물로 대체해야 하므로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로 합니다. 환자 임의로 약물을 중단할 경우, 약을 먹기 전보다 더 강한 결핵균과 싸워야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암이 치명적인 이유(증상, 진단) (0) | 2022.09.02 |
---|---|
폐경의 정의와 폐경을 늦추는 방법 (0) | 2022.09.01 |
크론병의 정의와 여러 증상들 (0) | 2022.08.31 |
식도염을 의심할만한 증상 그리고 치료 (0) | 2022.08.31 |
고혈압 환자의 주의사항(원인, 증상)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