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의 정의
폐경은 여성 호르몬이 더 이상 여성의 몸에서 생성되지 않을 시기를 말합니다. 여성은 일생동안 배출할 수 있는 난자를 가진 난소를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납니다. 폐경이 되면 호르몬의 중단으로 더 이상 난소에서 난자를 배출할 수 없게 됩니다. 폐경이 나타나는 나이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주로 50대 이후에 나타나지만, 무조건 50대라 해서 폐경이 나타나는 것도 아닙니다. 보통 아이를 낳고 10년 정도 후부터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적어지며, 여성호르몬이 적어질 때부터 폐경은 시작된 것이며, 생리가 완전히 멈춘 1년 정도까지를 갱년기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폐경이 너무나도 당연한 증상이었습니다. 하지만, 100세 시대에 폐경이 50살부터 시작이 되면 남은 50년을 활발하게 지낼 수 없으므로, 폐경을 늦추는 방법이 화두 되고 있습니다.
폐경의 원인과 증상
폐경의 원인은 여성호르몬 생성의 중단입니다. 여성은 태어날 때 1차 성징이라 일컫는 생식기를 가지고 태어나며, 사춘기 때 2차 성징이라 일컫는 여성호르몬을 배출하게 됩니다. 여성호르몬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있는데, 이 둘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유바의 성장에도 영향을 주며, 자궁의 성장에도 영향을 줍니다. 에스트로게론이 난소에서 난자를 배출하게 하는 호르몬이라면, 프로게스테론은 난소에서 배출된 난자가 정자랑 수정하여 자궁에 착상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임신하는 동안에는 프로게스테론이 에스트로겐보다 높은 농도를 유지하여 태아가 자궁에 잘 안착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출산 때는 에스트로겐이 프로게스테론보다 높은 농도를 유지하여 출산을 도와줍니다. 물론, 임신을 하지 않았을 때는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높아지지 않아, 자궁의 출혈인 생리를 유발합니다. 갱년기가 되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두 호르몬 생성의 양이 감사하고, 생리 역시 줄어들게 됩니다.
폐경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규칙적이지 않은 월경입니다. 여성 호르몬이 줄어듬에 따라, 규칙적인 생리도 불규칙 적으로 변하며, 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많은 여성들이 열감, 홍조, 빈맥과 같은 증상을 호소합니다. 더불어, 불안감과 우울함, 기억력 감소까지 정신적 스트레스도 동반합니다. 특히 밤에는 불면증을 겪기도 합니다.
폐경을 늦추거나 치료하는 방법
폐경을 늦추는 방법은 여성호르몬을 생성하는 영양소들을 많이 먹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석류나 호르몬의 직접 투입이 있습니다. 호르몬 직접 투입은 호르몬 보충 요법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요법으로 여성 호르몬이 적정치를 유지하면 감소되어있던 골밀도도 높아지고, 피부의 탄력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폐경에 도움이 되는 음식으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피토에스트로겐을 함유하고 있는 음식을 먹으면 갱년기 증상의 완화를 도우며, 붕소가 함유된 식품을 먹으면 혈액 속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피에스트로겐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는 콩과 식물, 해바라기씨, 아미 씨 등이 있으며, 석류, 양배추, 브로콜리와 같은 음식들도 도움이 됩니다. 붕소를 함유한 식품의 경우에는 달달한 과일류들이 있습니다. 자두, 복숭아, 딸기, 무화과 등 단맛이 강한 과일부터 샐러리, 아스파라거스, 사과와 같이 아삭한 채소나 과일들도 붕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콩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여성호르몬 증가에 도움이 되며, 단백질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주의사항
과거에 자궁내막암이나 유방암처럼 여성질환과 관련된 질환을 앓은 환자의 경우 폐경을 늦추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폐경을 늦추는 것은 여성호르몬을 재생성시키는 것인데, 이때 문제가 되었던 종양 역시 재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폐경이 오기 직전인 갱년기에는 영양소가 골구로 잡힌 식사와 적절한 운동을 통해 호르몬의 균형을 잘 맞추어야 합니다. 흡연이나 음주 역시 금지되며, 고지방 음식이나 탄산음료 역시 지양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식사는 저지방, 저탄수화물 음식을 뜻하며, 염분 역시 적게 섭취해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에는 유산소가 도움이 됩니다. 유산소 운동은 온몸의 혈액을 순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호르몬의 농도가 낮더라도 균형을 지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호르몬의 부족은 비만이나 심장 혈관계 이상을 일으 킬 수 있으니 저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적절한 운동은 폐경뿐만 아니라 다른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의 여러 증상과 예방방법 (0) | 2022.09.02 |
---|---|
식도암이 치명적인 이유(증상, 진단) (0) | 2022.09.02 |
결핵은 무엇이며, 어떤 경로로 감염 되나요? (0) | 2022.09.01 |
크론병의 정의와 여러 증상들 (0) | 2022.08.31 |
식도염을 의심할만한 증상 그리고 치료 (0)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