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혈관 부종의 여러원인들과 증상

다하는 2022. 9. 4.
반응형

혈관 부종이란?

혈관 부종이란 피부 바로 밑에 있는 얇은 조직에서 두드러기와 같이 알레르기성 반응이 일어나서 붓는 질환을 뜻합니다. 혈관은 혈액이 지나다니는 가느다란 통로로, 혈관 자체를 조직이라고 부릅니다. 세포가 모여 조직이 되고, 조직이 모여 기관이 되는데 이때 혈관은 조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혈관은 우리 몸 중심부에 위치하기도 하며, 피부 바로 밑에 위치하기도 합니다. 피부 바로 밑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영양소를 공급해주거나, 수분을 공급해줍니다. 이런 역할을 하는 혈관에 부종이 생기게 되면, 가까이 있던 피부에도 부어오름이 생기고, 간지러운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주로 통증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피부가 붓는 것과 같이 거대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혈관 부종의 원인

혈관 부종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 제일 흔한 것은 급성 알레르기성 때문입니다. 급성 알레르기성 혈관 부종이란 알레르기가 피부 밑 조직에 일어나는 것으로, 다양한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알레르기 항원의 종류에는 동물의 털이나 동물의 분비물, 각종 약물, 햇빛, 과일 알레르기, 갑각류 알레르기, 벌레 알레르기, 다양한 나무의 종자 알레르기, 꽃가루 알레르기, 고무 알레르기, 고혈압 알레르기, 항생제 알레르기, 물 알레르기 등이 있습니다. 이는 노출된 직후라기보다는 1~2시간 후에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알레르기 항원 이외에도 비알레르기성 약물에도 반응하여 혈관 부종이 일어나게 됩니다. 비알레르기성 약물 반응은 바로 증상이 나타나기보다는 몇 개월이 지나야지 증상이 나타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전성 요인도 혈관 부종의 한 원인입니다. 유전성 혈관 부종은 면역기능을 억제하는 혈액 단백질이 부족하거나 결핍되어서 면역기능이 억제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일어납니다. 면역 반응이 과다하게 일어나면, 염증과 부종의 반응도 과다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혈관 부종의 원인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원발성 혈관부종이 혈관부종이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만성적으로 없어지지 않으며 자가면역 질환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혈관 부종의 증상

혈관 부종의 증상은 보통 알레르기성 증상과 비슷합니다. 갑자기 피부가 부어오르거나, 빨갛게 되고, 간지러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부뿐만 아니라 입술이 붓기도 하며, 입술 주변의 피부가 부어오르기도 합니다. 손이나 다리가 부어오르는 증상도 있으며, 목이 부어오르는 증상도 있습니다. 목이 부어오를 때는 띠를 두른 것처럼 빨간 띠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복부에 혈관 부종이 나타나게 되면 복부의 피부가 부어오르거나, 빨갛게 되고 간지럽습니다. 복부에 발진이 나타나기도 하며, 복부 경련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호흡기에 혈관부종이 일어나게 되면 기침을 동반한 통증과 호흡곤란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결막에 혈관 부종이 생기게 되면 눈에 충혈 일어납니다. 특히, 심장 근처에 혈관 부종이 나타나게 되면 빈맥이 일어나거나 소양증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혈관 부종은 전문의가 눈으로 진단이 가능할 정도로, 증상이 눈에 띕니다. 단지,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혹은 피부에 항원들을 소량씩 투입하는 알레르기 반응 검사도 할 수 있습니다.

 

혈관 부종의 치료 

혈관 부종의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가 대표적으로 이용됩니다. 우리 몸은 염증반응이나 면역반응이 일어났을 때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 히스타민이 염증반응, 면역반응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를 이용하면 면역반응이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혈관 부종의 치료에 스테로이드제가 이용되기도 합니다. 전신 면역반응 발현되는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을 투여하기도 하며, 면역 억제제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유전성 혈관 부종에 특별히 효과적인 것은 '이카티반트'제입니다. '이카티반트제'는 면역을 억제시켜 증상을 빠르게 완화시킵니다. 물론, 증상이 미미한 경우에는 이런 약물들을 투여받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병원에 가서 나의 질환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어야지 응급 상황이 생겼을 때 빨리 대처할 수 있기에,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특히, 혈관 부종은 완전히 치료되는 병이 아니므로 원인을 알게 되면 그 원인을 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