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 경색증의 뜻과 원인
급성 심근 경색증은 심장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혈관들 중 나가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막혀서, 심장의 근육이 죽는 질환입니다. 혈관이 막히는 이유는 다양하게 있지만, 주로 혈전이라는 피의 응집 덩어리들이 혈관을 막아 갑자기 발생하는 협심증과는 다른 질환입니다. 심장의 근육의 경우, 영양소를 공급받지 못하면 심장 박동의 근원이 되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못하게 되고, 산소를 받지 못하면 세포가 죽게 됩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보통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병원에 빠르게 이송되더라도 사망률이 10분에 이릅니다.
급성 심근 경색증의 원인으로는 콜레스테롤이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이란 동물의 지방에 많은 물질로,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응집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몸에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콜레스테롤이 혈관에서 없어지지 않는 현상을 보입니다.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쌓인 콜레스테롤 주위로 섬유성 막이 생기게 됩니다. 섬유성 막이라는 것은 콜레스테롤을 더 응집시켜주고, 만약 섬유성 막이 파괴되면 응집되어있던 콜레스테롤을 갑자기 혈관으로 방출시켜, 갑작스럽게 혈관이 막히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급성 심근 경색증으로 의심될만한 증상과 진단
심근 경색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거의 통증을 느끼지 못합니다. 물론, 혈액 검사를 통해 혈중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검사하고 있었거나,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몸상태를 점검하고 있더라도 급성이라는 수식어답게 갑자기 찾아오는 질환이므로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급성 심근 경색증이 발생할 경우에 빠르게 병원에 가야 하므로, 어떤 증상들이 급성 심근 경색증의 증상인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이 있습니다. 가슴 통증은 보통의 통증과 다르게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통증이라고 표현됩니다. 가슴이 찢어질 듯하고, 숨이 멎을 듯하며, 가슴이 열린 것 같은 통증을 호소합니다. 이러한 통증이 20분 잇아 지속되므로, 이때 신속하게 병원에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차를 운전해서 가는 것은 절대 안 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응급실에 연락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합니다.
심근경색은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많지만, 이미 증상이 한번 있었던 사람에게서 발병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이는, 관상동맥이 한줄기에서 여러 줄기로 갈라지면서 많은 혈관이 있다고 하고, 어느 혈관에서 막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심근경색이 한번 더 찾아올 수 있습니다.
심근 경색증으로의 진단은 심전도 검사와 혈액검사에 의해 진행되게 됩니다. 응급실에 가면 심전도 검사와 혈액검사부터 하는 이유가 심근 경색증으로의 가능성을 보기 때문입니다. 그다음에, 별 다른 의심되는 정황이 없으면 다른 부가적이 ㄴ검사가 진행되게 됩니다. 하지만, 심근경색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1분 1초가 아까운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나, 의사의 진단에 따라 다릅니다. 먼저, 막힌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를 쓰기도 하며, 바로 관상동맥을 넓히는 시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어느 방법이던지 간에 빠른 시간 안에 관상동맥의 길을 열어, 심장의 근육이 파열되지 않는 것이 목표입니다. 2시간 안에 관상동맥을 뚫어야지 심장의 근육에 손상이 가지 않으며, 다음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심근 경색증의 여러 치료 방법들
심근 경색의 치료에는 혈전 용해제와 관상동맥을 뚫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를 사용을 먼저 하는 경우도 있지만, 관상 동맥을 뚫고 나서, 뚫리지 않으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상동맥을 뚫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풍선으로 관상동맥을 넓히거나, 금속 그물망을 이용하여 길을 넓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 심장 근처의 혈관에 진행하는 수술로 심장을 보존할 수 있는 병원의 시설과 전문의의 전문적인 수술 테크닉을 요구로 합니다. 옛날에는 이 수술을 할 수 있는 전문의가 적었다면, 요즘에는 보편화되어서 3시간 이내에 응급실에만 도착할 수 있다면 사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콜레스테롤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콜레스테롤이 많은 혈증, 비만 등의 원인으로 심근 경색증이 발병되므로 식습관 조절이나 행동 조절이 필요합니다. 흡연이나 음주 등을 금해야 하며,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피하며, 비만이 되지 않기 위해 꾸준한 운동과 식이습관을 개선시켜야 됩니다. 가족 중에 심근경색을 겪은 사람이 있다면, 더욱더 내 건강에 세심한 관찰이 필요로 합니다. 심근 경색증으로 이미 한번 수술을 받은 사람도, 다른 혈관에서 관상동맥이 막힐 수 있으니 언제나 주의를 기울이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닝에 의한 햄스트링 부상의 자가 진단 방법/치료 방법 (0) | 2022.12.11 |
---|---|
온도별 러닝 복장 (0) | 2022.12.10 |
혈관 부종의 여러원인들과 증상 (0) | 2022.09.04 |
난소암은 어떤 질병이며,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0) | 2022.09.03 |
다발성 경화증의 정의와 원인 (0)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