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의 정의와 원인
백내장의 정의는 수정체가 반투명해져서 초점이 맞지 않게 흐리게 보이는 안과 질환입니다. 백내장에도 노인성 백내장, 임신성 백내장, 선천성 백내장 등이 있습니다. 우리 눈은 수정체라고 하는 액체도 고체도 아닌 젤리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수정체가 사물의 초점을 맞춰주거나, 염증을 막아주거나, 눈의 수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 속에 염증이 생기거나, 외상을 당하게 되면 수정체의 투명한 물질이 염증으로 덮이거나, 반투명으로 변하게 되면서 초점이 안 맞아 흐리게 보일 수 있으며, 나이가 들어 자연스럽게 수정체의 투명한 젤리 같은 물질이 반투명해짐에 따라 흐리게 보이게 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당뇨병, 피부 질환, 자외선의 과다한 노출, 호르몬의 영향, 비타민 E 결핍증, 약물의 과다복용, 음주, 흡연 등의 이유로 수정체가 투명해지지 않으면 백내장이라고 합니다.
백내장의 증상과 진단
백내장의 증상으로는 수정체가 혼탁해져 흐리게 보이게 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물론, 시력이 너무 안 좋은 사람들이 수정체가 불투명하게 되면 굴절률의 영향을 받아 잘 보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며, 수정체가 더 혼탁해짐에 따라 흐리게 보이는 증상으로 발현됩니다. 나이가 들어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어렸을 때부터 유전적으로 혼탁한 수정체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의 경우 한 곳을 잘 주시하지 못하고, 눈이 사방으로 흔들리거나, 불빛을 잘 따라가지 못하며 눈을 깜빡이거나 찡그리는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의사 선생님의 진단이 필요한 부분으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백내장은 혼탁의 정도에 따라 흐리게 보이는 정도도 다릅니다. 낮에는 눈부심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많으며, 물체가 두 초점으로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백내장의 진단 방법으로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가 있습니다. 세극등 현미경 검사는 산동 검사를 위해 동공을 안약으로 인위적으로 확장시킨 뒤, 수정체의 혼탁 정도와 위치를 파악합니다. 이때, 파악의 정도는 의사 선생님의 소견에 따릅니다. 의사 선생님의 소견에 따라 후낭하 백내장, 핵 경화 백내장, 전낭 하 백내장으로 나뉩니다. 후낭하 백내장은 눈의 뒤쪽 부분인 수정체 뒷면을 감싸고 있는 후낭에서 발견된 백내장입니다. 눈의 뒤쪽 부분에 생기는 이유는 오랜 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거나, 안약으로 나와있는 스테로이드 약물을 오랫동안 복양한 경우가 있습니다. 핵 경화 백내장은 수정체의 중심 부분에서 백내장이 일어난 경우로 많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전낭 하 백내장은 수정체의 앞쪽 부분에 생기는 백내장으로 육안으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치료 방법과 수술 후 치료
백내장의 치료 시기는 의사 선생님마다 다르게 말씀합니다. 그만큼, 빠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은 아니나, 백내장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준다면 치료가 권유됩니다. 또한, 너무 늦은 시기에 백내장 수술을 하는 경우는 녹내장으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니, 백내장이 있다고 의심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경과를 지켜보면서 수술 날짜를 잡아야 합니다. 백내장의 치료 방법은 아직까지 외과적인 방법 하나입니다. 눈 외부에 작은 구멍을 만들고, 그곳에 초음파 기구를 삽입하여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흡입합니다. 흡입된 수정체가 있던 자리에는 수정체와 비슷하게 생긴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인공수정체는 일반 인공수정체와 다초점 인공수정체가 있습니다. 일반 인공수정체는 의료보험이 되는 반면,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의료 보험이 되지 않습니다. 일반 인공 수정체의 경우 굴절률에 따라 안경알처럼 도수를 선택해서 주입합니다.
입원이 필요 없는 수술이 많으며, 1~4주 동안 항생제, 항염증제를 복용하여 염증을 예방하고, 수술부위가 아물기를 기다립니다. 수술 후 일주일 동안은 목욕탕 같은 수증기가 많은 공간에 가는 것이 금기되며, 땀이 들어갈만한 과격한 운동이나 육체노동을 삼가야 합니다. 책이나 핸드폰, TV, 컴퓨터 이용과 같은 일상생활은 가능하며, 수술 후 4주 정도는 취침 시 눈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보호용 안대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백내장의 예방 방법
인간의 수정체는 노화됨에 따라 불투명해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약물로 노화를 느리게 하거나 실생활 습관으로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약물로 노화를 늦추는 방법에는 항산화 성분의 점안액, 요오드와 칼륨 점안액이 있습니다. 실생활 습관에서는 자외선을 피하고, 블루라이트를 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외선을 피하기 위해 외출을 하실 때 양산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시고, 블루라이트를 피하기 위해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끼시거나, 핸드폰 및 컴퓨터에 블루라이트 차단 프로그램을 깔아 두시는 걸 추천합니다. 또한 눈이 건강해야지 수정체의 수분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눈 영양제 그리고 혈액 건강 영양제를 드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의 증상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2.08.27 |
---|---|
이석증이 무엇이며, 이석증을진단하는 방법 (0) | 2022.08.27 |
비문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에 관하여 (0) | 2022.08.26 |
당뇨병을 구분하는 기준과 예방 방법 (0) | 2022.08.26 |
대상포진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발해서 일어나는 질병입니다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