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증의 정의와 원인
비문증은 눈앞에 벌레나 알 수 없는 점, 실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하나의 점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개의 점, 여러 개의 실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고, 손으로 잡히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 곳을 주시할 때도 움직이는 경우가 있으며, 위쪽을 보거나 우측을 볼 때 따라오는 경우도 많으며 시선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경향도 있습니다. 비문증의 환자를 보면 날아다니는 모기가 보이는 증상이라고 표현이 되는데, 날파리증이라고도 표현이 되며 질병이라기보다는 증상을 뜻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증상으로, 백내장 수술이나 라섹을 한 경우 생기는 경우, 노화가 되면서 보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노화가 진행된 이후인 40세 이상부터 보이기 시작하며, 50대, 60대에는 흔하게 보이는 증상입니다. 근시가 심각한 청년들은 일찍부터 비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병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 경우도 있기에 노화에 의한 비무증인지, 질병에 의한 현상인지 진단이 필요합니다
우리 눈은 동그랗게 생겼는데, 이는 유리체라는 물도 얼음도 아닌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리체는 망막과 수정체 사이에서 순환, 영양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태어날 때 형성되어 죽을 때까지 재생되지 않습니다. 유리체가 투명해야지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초점이 모이는데, 유리체가 불투명한 경우 들어오는 빛에 그림자가 망막에 드리워집니다. 노화나 질병에 의해 수정체가 불투명해지는 경우, 비문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입니다. 우리의 세포가 노화가 되면 수분이 부족하듯이, 우리의 유리체도 노화가 될수록 두꺼워지고,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주름이 생기기도 하고,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한 조직이 부유물로 형성되어 떠다니기도 합니다. 근시가 심한 사람들에게서 비문증이 빨리 나타나는 이유가 유리체의 노화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노화 이외에도 백내장 수술, 망막 교체 수술, 당뇨병 합병증, 후유리체 박리, 망막 혈과 파열 등 심각한 질병의 증상으로 비문증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증상의 심해짐과 안심해짐을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유리체의 출혈이나 정맥의 폐쇄, 망막 열공 등 긴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니 안과에서 자신의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비문증의 증상과 진단
비문증의 증상으로는 하루살이처럼 눈 속에 부유물질이 떠다니는 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떠다니는 물체는 여러 개 일 수도 있고, 한 가지 일 수도 있고, 실 형태 일 수도 있습니다. 눈을 감아도 보이는 사람도 있으며, 시선을 달리해도 항상 따라옵니다. 특히, 하얀 배경을 볼 때, 밝은 곳에서 갑자기 어두운 곳으로 이동할 때 도드라진 형태를 보입니다. 내가 보는 곳의 중앙에 있는 경우도 있고, 시선의 바깥에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유 물질이 망막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 그림자가 더 크게 지므로 보이게 되는 부유물질이 더 크고 짙게 보입니다. 비문증의 경우에는 한 번 생기면 없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하지만, 신경 쓰지 않다 보면 시선의 중앙에서 바깥으로 가는 경우가 다수 보입니다. 노화에 의한, 수정체의 혼탁에 의한 비문증은 그리 심각한 상황이 아니지만, 망막의 박리나 망막의 열공이 생긴 경우도 비문증이 보이기 때문에 질병에 의한 비문증인지 노화에 의한 비문증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망막 박리의 경우 커튼이 쳐진 것처럼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증상이나, 광시증이라고 하여 불빛이 번쩍이는 현상을 띕니다. 안과에서 레이저로 빠르게 붙이면 상관없지만, 늦은 발견에는 시력을 잃는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됩니다.
비문증의 진단은 수정체의 혼탁도나 다른 질병의 검사에 의해 진행됩니다. 비문증이 의심되는 경우 당뇨, 고혈압 검사를 하게 되며 시력 저하, 광시증, 가리어짐과 같은 증상을 확인합니다. 이후, 생체현미경을 통해 눈의 염증, 수정체의 혼탁도 등을 확인합니다. 특히, 망막박리를 검사하기 위해서 산둥을 통한 안저검사가 필요로 한데, 이는 안저 관찰 렌즈와 세 극 현미경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비문증의 치료
비문증의 치료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비문증 자체가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질병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불편할 뿐이지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날아다니는 물질에 신경을 쓰지 않고, 무시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면 시선의 중앙에서 시선의 바깥으로 부유물질이 쌓이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신경 쓰이기야 하겠지만 신경을 쓰면 쓸수록 더 많이 보이는 것이 비문증이며, 의사 선생님도 어쩔 수 없으니 무시하라는 말씀을 전해주고는 합니다.
부유물질의 모양이나 개수 같은 경우 변화가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갑자기 수가 많아지거나 모양이 거대해지거나, 커튼에 가린 듯한 증상을 느낀다면 질병으로 넘어가는 중일 수도 있어, 의사 선생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물론, 수술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레이저 치료를 통해 유리체를 없애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라는 속담과 같이 작은 불편함을 잡으려다가 눈에 큰 부담을 주는 행위입니다.
레이저 치료의 경우 기계적 충격을 이용해 레이저를 발생시키고, 부유물을 잘게 부숨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킬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눈 속의 레이저라는 충격파로 인해 다른 연약한 물질들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손상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는 망막, 유리체 등이 있으며 심각하면 눈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 부유물질이 깨질 때 안 보이는 것이 아니라 숫자가 늘어남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어서 불편함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물론, 외과적인 시술로 수정체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으나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이러한 수술들은 합병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비문증으로 다른 질병을 눈치챌 수 있는데 다른 질병의 위험성을 놓치는 결과도 초래합니다.
비문증의 경과와 합병증
비문증이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것이지만, 간혹 병적 비문증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부유물질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부유물질의 모양이 갑자기 변한다든지, 번쩍이는 증상 혹은 커튼이 드리워진 현상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한 근시를 가지고 있거나, 백내장 수술, 망막 교체 시술을 받은 사람, 유전적으로 망막 박리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비문증의 증상을 알고, 세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의 증상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2.08.27 |
---|---|
이석증이 무엇이며, 이석증을진단하는 방법 (0) | 2022.08.27 |
백내장이 생기는 원인 (0) | 2022.08.26 |
당뇨병을 구분하는 기준과 예방 방법 (0) | 2022.08.26 |
대상포진은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발해서 일어나는 질병입니다 (0) | 2022.08.25 |
댓글